국문/사주명리학 2

24절기, 음력, 윤달, 양력, 윤년 정리

들어가기 전 ㅁ 황도(黃道) ㅇ 천구에서 태양의 궤도 ※ 천구 - 관측자가 중심에 위치하고 반지름이 매우 큰 가상의 구이다. - 관측자가 보는 별은 가깝든지 멀든지 상관없이 천구상의 한 점으로 투영된다. - 둥글게 보이는 밤하늘을 학문적으로 천구(天球, celestial sphere)라고 부른다. ㅇ 태양의 궤도면은 평면이 아니지만, 평면이라 보고 그 평균궤도면을 황도면(黃道面)이라고 한다. 이것은 적도면과 23° 27'쯤 기울어 있고, 황도상의 적도를 가로지르는 두 점이 춘분점과 추분점이다. ㅇ 황도를 기준으로 하는 좌표계를 황도좌표계라 하며,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데 편리하다. ㅇ 행성의 궤도면이 황도면과 이루는 각을 황도경사(黃道傾斜)라고 한다. ㅇ 황도는 근소하지만 다른 행성으로부터의 영향으로 ..

대운과 대운수 계산하는 방법

1. 대운 ㅇ 대운(大運)은 10년씩 변해가는 운이다. 그러므로 대운(大運)의 방(方)을 월지(月支)에 대조하여 초년 · 청년 · 장년 · 말년의 운과 10대, 20대, 30대 등 세월에 따른 인생의 길흉을 예측한다. ​ ㅇ 일년의 주기는 춘하추동의 24절기(절입일만 따지면 12달) 360일로 본다. ​ ​ 2. 대운수 ㅇ 대운수(大運數)는 몇 세를 기준으로 하여 대운(大運)이 시작되고, 변화되어 가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척도이다. ​​ ㅁ 대운수 계산법 (간편법) ㅇ 120년/12달=10년, 즉 1달 30일이 인생 10년이다. 3일이 대운수 1년이 되는 것이다. 즉, 일년 360일과 사람의 일생 120년을 대비해보면(360/120=3) 3일에 대운 1년이 된다. ​ ㅇ 양년(갑,병,무,경,임)에 태어..